본 문 : 출애굽기 15장 22-27절
홍해에서 자신들의 믿음 없는 모습을 그대로 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자신들을 위해서 싸우시고 일하시며 건지시는 크고 영화로우신 하나님을 생생하게 경험한 이스라엘의 반응은 그런 하나님을 찬양하는 일이었습니다. 그 찬양의 마무리는 미리암과 여인들이 감당했습니다. 그들은 모세와 백성들의 찬양의 첫 소절을 그대로 반복하는 노래로 화답함으로써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크고 영화로우신 분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이제 이스라엘의 믿음은 한층 성숙해야 할 것입니다. 이제는 자신들이 섬기는 하나님, 그리고 자신들을 인도하시고 보호하시는 하나님이 어떤 하나님이신지를 확실히 알았으니까요. 그렇지만 그들의 그런 드높은 찬양과 믿음은 사흘을 넘어가지 못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이스라엘 백성들을 수르 광야를 통과해 가도록 그렇게 인도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수르 광야로 인도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사흘 길을 계속해서 광야를 걷게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그 광야에서 먹을 물을 발견할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물을 발견하기는 했습니다. 그런데, 그 물이 너무 써서 먹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자,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 곳 지명을 아얘 쓰다 혹은 고통스럽다는 뜻의 ‘마라’라고 바꾸고는 거기서 자신들의 도대체 무엇을 마셔야 하느냐고 모세를 원망하기 시작했습니다. 홍해에서의 부르짖음과 원망이 기쁘고 영광스러운 찬양이 되는가 싶었더니 다시 사흘만에 원망이 되어 버리고 마는 순간이었습니다.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 싶지만 사실 이것은 우리들의 반복되는 모습이기도 합니다. 저만 해도 얼마나 자주 찬양과 원망, 신앙과 불신앙 사이를 왔다 갔다하는지 모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포기하지 않으시니 그 은혜가 정말로 기이할 정도입니다.
모세도 하는 수 없이 하나님께 부르짖었습니다. 그러자 하나님께서는 그 샘 곁에 있었던 나무 하나를 가리키셨고 모세는 그 나무가지를 꺾어 그 물에 던졌습니다. 그러자, 그 물이 마시기에 적당한 물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그런 이스라엘 백성에게 화를 내시거나 벌을 내리시지는 않으셨습니다. 이제 막 애굽에서 빠져 나온 이스라엘백성이 아직은 그런 시험들에 대해서 성숙한 반응을 보일만큼 자라있지 않다는 사실을 잘 알고 계셨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결코 우리를 기계적으로 다루지 않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영적으로 어떤 수준에 있는지 너무나도 잘 알고 계시기 때문에 신앙의 출발점에서 성숙한 반응을 요구하지는 않으십니다. 물론 그럴말한 충분한 때가 되어서 도 우리가 전혀 성숙해 지지 않거나 믿음의 반응을 보이지 않을 때는 우리를 징계하기도 하시지만 아무 때나 우리에게 똑같은 요구를 하시지는 않습니다. 이번에는 하나님께서 아무 말씀하지 않으시고 그들 앞에 닥친 문제를 해결해 주셨습니다. 마라의 쓴 물을 단 물로 바꿔 주셨습니다. 그런데, 그러면서 하나님께서는 앞으로 이스라엘이 절대로 잊어서는 안되는 법을 하나 정하시고는 그것을 그들에게 주셨습니다. “너희가 너희 하나님 나 여호와의 말을 들어 순종하고 내가 보기에 의를 행하며 내 계명에 귀를 기울이며 내 모든 규례를 지키면 내가 애굽 사람에게 내린 모든 질병 중 하나도 너희에게 내리지 아니하리니 나는 너희를 치료하는 여호와임이라”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광야로 인도해 가시고 거기서 마실 수 없는 물을 만나게 하신 이유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그 물을 다시 단 물로 바꿔 그들이 마실 수 있는 물이 되게 해 주신 이유가 있었습니다. 그것이 앞으로 그들이 살아가게 될 삶의 표본이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이 말씀에서 주의 깊게 보아야 할 것이 한 가지 있습니다. 그것은 앞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이 걷게 될 길이 탄탄대로가 아니라 광야가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광야가 어떤 곳이 될 것인가는 모두가 하나님에 대한 이스라엘의 태도에 달려 있다는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를 걸어가다 보면 그들은 분명히 목이 마르게 될 것이고, 달고 시원한 물이 아니라 쓴 물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이 그런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을 믿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한다면 하나님께서는 언제나 그 쓴물을 단물로바꿔서 이스라엘의 갈증을 해결해 주실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이 그런 상황 때문에 하나님을 믿지 못하고 순종하지 않게 되면 광야는 마른 땅이 될 것이고, 계속해서 쓴 물은 쓴 물로 남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이 사건을 통해서 이스라엘에게 당신께서 언제든지 광야에서 생수를 만나게 해 주실 수 있고, 또 쓴 물을 단 물로 바꿔 마실 수 있는 물로 바꿔주실 수 있다는 것을 알려 주셨습니다. 그리고는 너희가 이런 나를 믿는다면 너희에게 애굽에게 내렸던 전염병들을 하나도 내리지 않겠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면서 하나님 자신은 치료의 하나님이라고 알려 주셨습니다.
하나님께서 구원하신 하나님의 백성들을 탄탄대로와 부족함이 없는 그런 땅이 아니라 광야에 놓아두시는 이유는 그 광야만이 우리들의 참 모습을 그대로 드러낼 수 밖에 없는 그런 땅이기 때문입니다. 광야에서는 ‘안 그런 척’하는 것이 통하지 않습니다. 믿지 않는데 믿는 척, 변화되지 않았는데 변화된 척, 순종할 마음이 없는데 순종하는 척하는 일이 소용이 없고, 전혀 통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광야는 하나님 아니면 그 무엇도 의지할 수 있는 것이 없는데, 하나님 앞에서 ‘척’하는 것은 스스로를 유일한 의지가 되고 해결책이 되시는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광야는 우리가 하나님을 정말로 의지하는지 그렇지 않은지, 하나님께 정말로 순종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드러낼 수 밖에 없는 땅이 되고 그 순종과 불순종의 열매가 어떠한지를 가르쳐 주는 역할을 합니다.
성도들 중에는 내가 예수를 잘 믿으면 탄탄대로와 옥토가 눈 앞에 펼치질 것이라고 기대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그 기대에 부합하는 삶을 살지 못합니다. 그래서 혼란스러워하고 실망하거나 하나님을 믿는 일에 대해서 별다른 소망이나 의미를 느끼지 못합니다. 그런데, 이것은 신앙에 대한 오해 때문에 생기는 안타까운 일들입니다. 오히려 신앙은 오히려 자신을 광야로 내모는 일입니다. 거기서 하나님을 믿고 또 모시고 살아가면서 하나님이 어떻게 그 광야에서 자신의 모든 것이 되어 주시고, 또 때때로 만나는 쓴 물을 단 물로 바꿔 주시는지를 경험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광야에서 하나님을 배워가고 또 그 하나님을 제대로 신뢰하는 법을 배워가는 과정이 바로 신앙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앞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만나게 될 순간 순간이 ‘시험’이 될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시험이란 바로 광야에서도 치유하시는 하나님을 믿고 순종하면서 살아서 쓴 물을 단 물로 바꾸시는 은혜를 경험하며 살 것인가 아니면 그 광야에서 계속해서 마른 목을 붙들고 쓴 물만 만나는 삶을 살 것인가를 스스로 결정하는 믿음의 시험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것을 규례, 그러니까 법으로 만드셨습니다. 그러니까 광야를 여행하는 동안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 법칙의 지배를 받게 될 것이라는 뜻이었습니다.
믿음의 순종을 통해 쓴 물을 단물로 바꾸게 하여 광야같은 삶의 여정도 넉넉하게 여행하게 해 주시겠다는 것은 하나님의 정하신 신앙의 법입니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구요. 그 법이 우리에게 어떻게 적용되게 할 것인가 하는 것은 바로 우리들, 정확하게는 우리의 믿음과 순종에 달려 있습니다. 우리의 삶이 항상 순종을 통해서 쓴 물을 단물로 바꾸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면서 사는 복된 여정이 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